일상기록

기업은행 퇴직연금 ETF매수 방법&주의사항, 현금성자산으로 만들기

Riny_ 2024. 6. 4. 14:45
반응형

이제 직장다닌지 1년이 넘어서

퇴직연금계좌가 DC형으로 오픈됐다

기업은행으로!

 

 

[기업은행 퇴직연금 고객센터]

1566-2566 / 1588-2588, 532번

 

 

 

 

원래 1년 기간 퇴직금이 '평가금액' 에 있어야하는데

알고보니 아직 회사에서 입금전이고 한달치 퇴직금만 들어있었다

깜놀했잖아..내 돈 다 어디간지 알고

 

 

[차이점]

연금저축계좌 - 개인연금

IRP, DC, DB - 퇴직연금

(DC-근로자가 운용, DB-회사가 운용)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기업은행APP-전체메뉴-퇴직연금-퇴직연금조회

내 연금이 초저위험도 포트폴리오 디폴트옵션으로 설정되어있음

 

요즘 이 디폴트옵션 말이 많은데!

 

기업은행기준 8개정도로 구성되어져있는 포트폴리오에 내 퇴직금을 알아서 너 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에 투자해주겠다! 이런뜻인듯..근데 이제 기업에서 퇴직연금 가입해줄때 무조건 초저위험도로 해놓는듯!

 

사람들이 이걸 싫어하는 이유가 손실이 나도 책임져주지 않고(초저위험는 손실없긴함) 수수료도 가져가기때문이라고 생각함

 

 

[퇴직연금으로 ETF 매매 방법]

내 퇴직금은 초저위험도 포트폴리도 디폴트옵션에 의해 우리은행 정기예금 상품에 들어가있었다. 만약에 내가 지금까지 들어있는 퇴직금을 ETF로 사기 위해선 일단 '퇴직연금 상품변경'을 통해서 정기예금에 들어가있는 퇴직금을 '현금성 자산'(아무것에도 투자되어있지 않은 상태, 그냥 돈, 현금 뜻)으로 만들어준다음에 그 다음에 '퇴직연금 ETF'에 들어가서 직접 매수하면된다. 그리고 앞으로 입금될 금액 운용설정을 통해서 '현금성 자산'으로 받아서 한달마다 직접 ETF 매매할지 아니면 그땐 자동으로 내가 골라놓은 ETF를 매매하게끔 바꿀지 설정 할 수 있다. 

 

여기서 DC계좌는 퇴직연금이기때문에 안전성자산30%+위험자산70%까지 투자가 가능하다. 은행마다 매수할 수 있는 ETF종류가 다르기때문에 유튜브에서 보이는 안전성ETF 종류와 다를 수 있다. 어쨌든 은행마다 어플마다 표시하는 방법이 다르고 기업은행은 내가 구매하는게 안전성인지 위험자산인지 표시가 따로 안되어있고 최종화면에서 %를 조절해봐야 알수 있다(진짜 별로임) 다른은행중엔 투자한도70%되어있는게 '위험자산', 투자한도100%라고 되어있는게 '안전자산'이라고한다~ 은행마다 표기가 다름~

 

 

 

 

 

 

저 투자비율을 자동으로 맞춰주는게 아니라 내가 넣어보고 빼보고하면서 구매하려고 하는게 안전 자산인지 위험자산인지 구분해야한다는 개똥같은 기업은행에서 퇴직연금으로 ETF구매하는 방법..촴놔 그래도 장점은 국민은행엔 S&P가 없더라구요? 촴놔,,근데 내가 못찾는거일 수도 있음묘,,ㅋㅅㅋ

 

 

[기업부담금, 개인부담금]

상담원분 말로는 내가 '앞으로 입금될 금액 운용설정'에서 변경할때 개인부담금 체크하는게 있다는데 못찾았음,,암튼 이게 되어있던 아니던 퇴직연금계좌는 무조건 기업에서 부담해주는거기때문에 상관없다고하셨습니당..

 

 

[앞으로 입금될 금액 운용설정 주의사항]

내가 가지고 있는 퇴직금은 '현금성자산'으로 만들어서 ETF매수하면 되고, 그럼 앞으로 입금될 퇴직금을 내가 매달 들어와서 직접 구매하고싶으면 '현금성 자산'으로 해놓으면되고 만약에 그게 아니라 자동으로 내가 설정해놓은 자산들을 매매해주시면 좋겠다하면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의할점이 있다!!!!!

 

바로 위에 사진처럼

 

나스닥100을 35%, S&P35% =위험자산70%

정기예금 30%=안전자산30%

 

요렇게 투자한다고 설정해놨을때 

만약 월 내 퇴직금이 100만원이 들어온다고 가정했을때

투자금을 들어온 퇴직금에 35% 계산돼서

35만원으로 나스닥100을 살거아냐?

근데 나스닥100이 구매할당시 36만원이다?

1만원이 모자르기때문에 구매 체결이 안돼고

이 35만원이 현금성자산으로 빠진다는거,,

결국 내가 다시 들어가서 구매해줘야한다는거

왜 자동으로 매수가 안되지? 생각할 수 있음

 

그럼 S&P가 한 주에 10만원이라고했을때, 35만원중에 3주(30만원)만 사고 나머지 5만원은 현금성 자산으로 빠진다는 소리..감사해요 기업은행 퇴직연금 상담원 언니분,,

 

 

여기서 또 주의할것!

현금성자산으로 바로 매매할때는 ETF장중가로 매수 가능하지만 저렇게 자동으로 퇴직금이 들어왔을때 매수예정을 설정해놓는거는 ETF 전날 종가로 가격이 매겨진다는거, 어차피 둘다 내가 가격을 정할 순 없지만 그래도 내가 가격을 보고 구매 하는거랑 그전날 마지막 가격으로 자동으로 사진다라는 차이가 있다~~

 

 

 

[정리1 기존 퇴직금으로 ETF매수]

기업은행APP-퇴직연금-퇴직연금 상품변경-현재까지 적립된 금액 운용변경-아무것도 체크하지말고 '다음'넘어가기-현금성 자산으로 빼기-퇴직연금ETF에서 내가 ETF직접 구매하기

 

 

[정리2 앞으로 퇴직금 ETF매수]

기업은행APP-퇴직연금-퇴직연금 상품변경-앞으로 입금될 금액 운용설정-'투자성상품(펀드,ETF등) 선택하고 다음-ETF에서 내가 구매하고싶은거 설정(위에 주의사항 참고해서!)

 

 

다른 은행도 원리는 같고 이제 조금씩 기능이 어디에 있는지만 다름!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ETF]

일단 나는 ETF자체가 묶어놨기때문에 그렇게 위험하다는 생각은 안하고 국내상장된 해외 그중에서도 미국ETF만 구매하기때문에 다른사람들이 좋다는거 사는편, 유튜브보고 정리해놓겠숩니다

 

[위험자산ETF-70%]

- KODEX 미국S&P500TR

- ACE 미국S&P500

- KODEX 미국S&P500TR

- KBSTAR 미국나스닥100

- TIGER 미국나스닥100

 

[안전자산ETF-30%]

 

1. 채권혼합형ETF=안전자산으로 분류됨

채권(안전자산,70%)+주식(위험자산30%(지수, 단일 종목, 복수 종목))

위험자산은 70% 따로고 30%중에 30%(9%)가 또 미국주식으로 채워지기때문에 총 위험자산에 79% 투자하는게 됨

 

(1) 채권+지수

(435420) TIGER 미국나스닥100TR채권혼합Fn

(438100) ACE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

(438080) ACE미국S&P500채권혼합액티브

 

(2) 채권+복수 종목

(472170)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447620) SOL미국TOP5채권혼합40 Solactive

(449580) KBSTAR미국빅데이터Top3채권혼합iselect

 

(3) 채권+단일 종목

(447660) ARIRANG 애플채권혼합

(447770) TIGER테슬라채권혼합Fn

(448540) ACE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반응형